고사리를 집에서 키운다? 겨울에 키우기 좋은 반려식물

고사리를 집에서 키운다? 겨울에 키우기 좋은 반려식물
고사리를 집에서 키운다? 겨울에 키우기 좋은 반려식물
움직일 수 없는 식물들에게 겨울은 참 힘든 계절이다.
봄, 여름, 가을 동안 화려한 자태를 뽐냈던 꽃과 잎을 내려놓고, 차가운 추위를 견뎌야 하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서운 겨울을 이겨내며 푸른 잎을 유지하는 식물들이 있다. 바로 사계절 내내 푸르름을 간직한 상록식물들이다.
상록식물은 잎이나 줄기의 수액에 다당체 비율을 높여 어는점을 낮춤으로써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부동액처럼, 세포가 얼지 않도록 유지한다.
이를 통해 추운 겨울에도 푸른 잎을 지킬 수 있다.
물론 이런 식물들도 버틸 수 있는 온도는 한계가 있다.
추위에도 잎을 떨어뜨리지 않는 상록식물이라 하더라도, 온도가 낮은 중부 지역에서는 제대로 겨울을 보내기 어렵다.
그래서 따뜻한 제주 지역이나 남부 해안가처럼 온화한 기후대에 주로 분포하며 성장한다.
그렇지만 온도 변화가 크지 않은 실내 환경에서는 중부 지역에서도 이런 식물들을 키우는 것이 가능하다.
이번 글에서는 겨울철 실내에서 키우기 쉽고 관리하기도 편리한 반려식물을 추천해 보려고 한다.
1. 난초: 집에서 만끽하는 자연의 아름다움
겨울철을 대표하는 실내 식물로 난초류가 가장 사랑받는다.
풍란, 나도풍란, 석곡 같은 난초들은 주로 돌이나 나무에 붙여 키우며, 자연의 경관을 실내에서도 감상할 수 있게 한다.
이들 대부분은 멸종 위기종으로 자생지에서는 보기 힘들지만, 인공 재배가 활발해져 꽃시장에서 손쉽게 만날 수 있다.
난초류의 또 다른 예로 큰새우난초와 새우난초가 있다.
습도와 온도를 잘 맞춘다면, 봄과 여름에 향기로운 꽃을 볼 수 있는데, 특히 보춘화라 불리는 춘란은 잎 자체로도 감상 가치가 뛰어나며 인기 있다.
2. 양치식물: 공기를 정화하는 부드러운 잎의 매력
상록성 초본류 중에는 양치식물이 많다. 양치식물은 꽃 대신 포자로 번식하며 공기를 정화하는 데 탁월하다.
특히 나사미역고사리, 산일엽, 콩짜개덩굴, 도깨비쇠고비 같은 양치류는 실내에서 키우기에 적합하다.
바위손이나 석위처럼 돌이나 나무에 붙여 키우는 방식으로 집안을 싱그럽게 만들 수 있다.
양치식물은 따뜻하고 습한 환경을 선호하므로 가습기를 사용하거나 스프레이로 자주 물을 분사해 습도를 유지해주면 사계절 푸른 잎을 감상할 수 있다.
3. 빨간 열매와 초록 잎이 어우러진 관목
자금우과에 속하는 자금우, 산호수, 백량금 같은 식물은 작고 키가 낮으며 상록성 관목으로 겨울철 실내에서 기르기에 좋다.
이들 식물들은 여름에 작은 꽃을 피운 뒤 가을에는 빨간 열매를 맺으며, 겨울까지 초록 잎과 붉은 열매가 조화를 이루어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한다.
추운 겨울, 말없이 따뜻함과 싱그러움을 더해주는 상록 식물들과 함께 더 아늑한 계절을 보내길 바란다.
이번 겨울엔 실내에서 식물을 가꾸며 자연의 소소한 아름다움을 즐겨보는 것은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