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게 아니에요 양치식물의 극한 겨울나기
죽은 게 아니에요 양치식물의 극한 겨울나기
죽은 게 아니에요 양치식물의 극한 겨울나기
미디어에서 많이 접해 익숙하지만, 실제 가본 이는 적어 우리에게 낯선 열대우림을 배경으로 한 영화 정글북을 보고 있자면,
갖가지 풀과 나무의 향연에 무릇 자연에 대한 경외감이 솟구친다.
이 영화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식물 중 하나가 바로 양치식물로, 이들은 지구의 역사를 함께한, 식물계의 조상님이다.
영화 <정글북>의 스틸컷
가장 오래 살았고 원시적인 식물인 만큼 잎의 모양과 나무나 돌 등에 붙어 자라는 형태가 생생한
자연을 그대로 느낄 수 있게 하기에, 지난 겨울철 집안에서 키우기 좋은 반려식물 편에서 소개한 바 있다.
오늘은 한반도에서 자라는 양치식물과, 그들이 겨울을 나는 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푸른 잎이 바짝 말라 꼭 죽은 것처럼 보여도, 사실 극한의 겨울을 나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겨울을 나는 개면마
양치식물은 어떻게 춥고 긴 겨울을 날까? 온대기후대에 자생하는 양치식물은 저마다 조금씩 다른 모습으로 월동하는데,
지상부가 완전히 고사하는 낙엽형, 잎의 일부가 초록빛을 유지하는 반상록형, 푸른 빛을 지키는 상록형으로 나눌 수 있다.
대부분 따뜻한 남쪽 지방이나 제주도에 다양한 수종이 자생하고 있으며,
낙엽형이나 반상록형은 온대 중부지역에 살고 있다.
노지에서 월동이 안 되는 양치식물도 있는데, 이들은 일 년 안에 생활사를 모두 마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물부추,
물고사리, 생이가래, 개구리밥 등과 같은 수생양치식물은 실내온도가 따뜻하게 유지되는 곳에 두면 계속 건강하게 자라 두고 볼 수 있다.
실내에서는 푸른 겨울을 나는 아이들로.
양치식물을 실내 반려식물로 들이고자 할 때는 실내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는 수종을 선택할 필요가 있는데,
낙엽성, 반상록성 양치식물은 지상부가 대부분 고사하기 때문에 사철 푸르름을 감상할 수 있는 상록성수종이 적합하다.
요즘은 아열대, 열대기후지역에서 자생하는 네프롤레프스속(Nephrolepis)의 몇몇 종들이 주로 벽면녹화와 실내장식, 꽃꽂이 소재로 사랑받고 있다.
네프롤레피스
우리나라 태생에도 내한성도 우수하고 관상 가치가 뛰어난 양치식물이 많지만, 원예소재개발에 대한 노력이 많이 부족한 편이다.
그래도 최근 들어 도깨비쇠고비, 골고사리, 파초일엽 등 일부 양치식물이 실내식물로 개발되어 주목받기 시작했다.
부처손, 개부처손, 바위손등은 부처손과에 속한 식물로 자생지 환경을 살펴보면 주로 암석지나 절벽 같은 곳의
척박한 환경에서 볼 수 있을 만큼 적응력이 뛰어난 수종들로 돌이나 나무에 부착시켜 연출하기 좋으며,
건조나 추위에도 강해 베란다와 같이 온도변화가 극심한 곳에서도 잘 적응할 수 있다.
또 속새, 개속새와 같은 속새과 식물은 축축한 반음지와 습지 주변에 주로 잘 자라는 수종으로 자생지 환경과 유사하게 물허벅,
수반과 같은 용기에 담수시켜 관리하면 늘 생동감 있게 자라며, 잎의 형태가 독특하고 변이가 다양한 봉의꼬리,
큰봉의꼬리, 부싯깃고사리, 암공작고사리, 섬공작고사리, 공작고사리 등도 반려식물로 추천하고 싶은 아이들이다.